
[JS] 배열
2022. 6. 28. 00:28
개발이야기/JS
배열 생성 배열도 여러개의 데이터가 들어가는 비원시 타입이다. let arr = [1, "2", true, null, undefined, {}, [], function () {}]; 배열은 자료형이 다 달라도 다 넣을 수 있다. 배열의 접근 방법 = index let arr = [1, 2, 3, 4, 5] console.log(arr[0]); 0부터 시작하는 순서로 배열에 접근할 수 있다. 배열에 index 추가 방법 let arr = [1, 2, 3, 4, 5] arr.push(6); console.log(arr[0]); 6이라는 숫자를 push 메소드를 사용하면 배열의 마지막에 뭐든 추가 할 수 있다. arr.push({key: "value"}); //이렇게도 추가가능 배열의 길이를 변수로 받아오는 ..

[JS] 객체
2022. 6. 28. 00:13
개발이야기/JS
객체생성 방법 비 원시 타입의 객체를 알아보자. 객체를 생성할땐 두가지 방법이있다. 1) let person = new Object(); 2) let person = {}; new 키워드를 통해서 만드는것은 생성자 방식, 중괄호를 통해서 생성하는것을 객체 리터럴 방식이라 한다. (중요하진않음) 객체 리터럴 방식이 만들기 편하기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리터럴방식으로 사용한다. 객체는 여러가지 데이터를 동시에 가질 수 있는 비 원시 타입이다. 간단한 규칙만 지켜주면되는데 왼쪽엔 key : 오른쪽엔 value 키밸류 형식으로 만들어야하고 이 키:밸류를 프로퍼티(객체 프로퍼티)라고 한다. 객체 프로퍼티 접근 방법 let person = { key: "value", key1: 123, key2: true, key3:..

[JS] 동기와 비동기 작업의 이해 (feat. useEffect)
2022. 5. 28. 04:32
개발이야기/JS
동기처리 방식 우리가 만약 세가지의 작업을 수행해야한다고 가정해보자. function taskA() { console.log("tast A"); }; function taskB() { console.log("tast B"); }; function taskC() { console.log("tast C"); }; 자바스크립트가 세가지의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을 대략적으로 적어보면... 1. 연산과정이 필요하다. => 여기서 연산과정은 우리가 위에적었던 코드 한줄한줄을 다 연산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이때, 이 연산과정을 처리하는 친구를 "스레드" 라고 한다. 스레드라는 것은 코드를 한 줄 한 줄 실행시켜주는 친구라고 생각하면 쉽다. tastA => taskB => taskC를 순차적으로 실행시켜줄텐데 0.3초 ..

[JS] 배열 데이터 sort()
2022. 5. 26. 02:15
개발이야기/JS
배열의 내장 함수인 sort()를 알아보자. 문자형 정렬 원본 배열의 순서를 정렬하는 메소드이다. 보통 오름차순, 내림차순 정렬을 할 때 쓰인다. 📍작성코드 예시 const App = () => { const sortedItems = items.sort((a, b) => b.rating - a.rating); return ( ); }; export default App; rating(별점) 순서대로 데이터를 정렬하고 싶었다. 검색하던중 sort 메소드를 발견! 주의 할 점은 숫자를 정렬할 땐, ASCII 문자 순서로 정렬된다는 점.. let a = [4, 11, 2, 10, 3, 1]; /* 오류 */ a.sort(); // 1, 10, 11, 2, 3, 4 // ASCII 문자 순서로 정렬되어 숫자의 ..

[JS] 배열 데이터 (filter, find, findIndex, indexOf, includes, push, unshift, reverse, slice, splice)
2022. 2. 26. 07:31
개발이야기/JS
배열 데이터의 중요한 메소드만 살펴보려고 했는데..... 중요한게 너무 많다....!! 이번 시간을 마지막으로 진짜 배열데이터 끝짱내자. .filter() filter란 이름그대로 배열 데이터 안에 들어있는 아이템들을 특정한 기준에 의해서 필터링을 하는 것. 그리고 filter된 아이템들을 새로운 배열 데이터로 반환한다. const numbers = [1, 2, 3, 4] const fruits = ['apple', 'banana', 'cherry'] const a = numbers.map(number => { return number number < 3) console.log(a) 위의 코드를..